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정명교(정과리)의 문신공방
Tags
- 김현
- 심사평
- 연세문화상
- 한국문학의 세계화
- 언어의 새벽
- 동인문학상
- 윤동주
- 이한열 문학상
- 하이퍼텍스트와 문학
- 정명환
- 이성복
- 디지털 환경과 문학
- 최인훈
- 김수영
- 여성시
- 정현종
- 이청준
- 신춘문예
- 황인숙
- 나희덕
- 김지하
- 현대시 작품상
- 홍정선
- 조해진
- 김혜순
- 김승옥
- 김정환
- 황지우
- 이상
- 표절
- 번역
-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
- 한국문학 번역원
- 팔봉비평상
- 채영주
- 김멜라
- 이서수
- 1990년대 소설
- 문학과 철학
- 김광균
- 김명인
- Baudelaire
- Foucault
- Sartre
- 함성호
- 김기택
- 사르트르
- 노벨문학상
- 정찬
- 한국소설
- translation
- 바로크
- 광장
- 김영승
- 자유
- 민주주의
- 한강
- 사랑
- 만추문예
- 대학생문학
- 젊은 문학
- 종의 기원담
- 욕구형 인간
- traduction
- 허만하
- chatGPT
- 현대시 신인상
- 얼음의 도가니
- 문신공방
- 위수정
- 완벽한 생애
- 서이제
- 장-뤽 낭시
- Serge Doubrobsky
- autofiction
- 오토픽션
- 니콜라 드 스탈
- François Villon
- Yu Theodore Jun
- 슬픔의 노래
- 김병운
- 소수문학
- COVID-19
- 이명행
- 정지돈
- 내로남불
- 한국적 서정
- 김엄지
- 사이파이
- 문학의 세계화
- 쥴리에트 그레코
- 4.19세대
- 이철의
- 해변의 묘지
- Paul Valéry
- 이주혜
- 감염병
- 조재룡
- Adrienne Rich
- 언제나 너무 많은 비들
- 세계문학의 구도
- 최일남
- 에드몽 자베스
- 가난의 문화
- 홍성원
- 무명시인
- 김이설
- 사실과 허구
- Nietzsche
- 젊은 세대
- 이수명
- 구병모
- 자기세계
- 자전소설
- 심보선
- 이재무
- 성윤석
- 윤재철
- 정일근
- 못의 귀향
- 최하림
- 박형서
- 정용준
- 박주택
- 이영
- 김태동
- 무진기행
- 구효서
- 백무산
- 고재종
- 샤머니즘
- 님의 침묵
- 성소수자
- 리얼리즘
- 1990년대
- 천운영
- 과학소설
- 대산문학상
- 사회진화론
- 김윤식
- Albert Camus
- 당신들의 천국
- 정한아
- 김보영
- 김순기
- 듀나
- 김나현
- 김종철
- 박이문
- 이주민
- 이윤학
- 최수철
- Marx
- 천양희
- 1970년대
- 이지아
- 현대문학
- 버지니아 울프
- 오정희
- 황순원
- 발레리
- Star trek
- 윤대녕
- 황동규
- 김선재
- Philip K. Dick
- 김호진
- 문학사상
- 김지연
- 카뮈
- 이상문학상
- 모란이 피기까지는
- 김태용
- 보들레르
- 남진우
- 정지용
- 한류
- 신경숙
- 이시영
- 김영하
- 거울
- 한용운
- 백석
- 불안
- 각성치유
- 범용성의 기능
- 호소로서의 시
- 시 형식으로서의 대화
- 한국시의 대화성
- 한국 여성시
- 무덤 속의 마젤란
- 시적 정의
- 문학상의 황금비
- 문학상의 욕망
- 시의 역할.
- 비평의 역할
- 편운문학상
- 심사노동자
- 묘사의 힘
- 상징의 몰락
- 맥락없는 소설
- 맥락과 사건
- 무기력과 공허감
- 아전인수진실
- alternative facts
- post-truths
- 여기서 울지 마세요
- 자연회귀충동
- 현대인의 피로
- 밤이 영원한 것처럼
- 제 56회 동인문학상
- 현대문학상 비평부문
- 소천비평문학상
- 한국 지식인
- 자서전을 짜다
- 걸어오는 십자가
- 어깨의 시학
- 소년기의 고독
- 민족적 가치와 보편적 가치
- 동아시아와 서양
- 맨부커상 인터내셔널
- 파리도서전
- 뉴크리티시즘
- 월간 에세이
- 조금 망한 사랑
- 상상과 환상
- 정화의 미학
- 나를 지키기
- 이우디
- 몰락의 감정
- 우리에게 없는 밤
- 간극 없는 글쓰기
- 투명한 문체
- 책방 나라 사랑
- 인류세를 넘어
- 로봇의 시각 vs. 인간의 시각
- 풍경의 발견
- 퇴역로봇
- sf vs. 추리
- 해석의 가능성
- 올해의 프랑스 소설
- rentrée littéraire
- 판타지 문학
- 조성면
- 대상을 보듬는 비평
- 한국의 문학평론가
- 형태파괴
- 한국문학의 전개
- 자기애의 세계
-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
- 볼록거울로서의 소설
- 247의 모든 것
- 바로크 vs. 고전주의
- 깃발을 싣고 달리는 기차
- 저정애
- 고문의 의미
- 진실의 향락
- 단절과 감싸기
- 정착인의 의미
- 뜨내기적 삶
- 안녕의 발견
- 호르헤 만리케
- 투라우마의 고착
- 미의 묘사
- 손진은
- 메디팜의 밤
- 김필아
- 박쥐의 시학
- 가끔 중세를 꿈꾼다
- 숙명주의
- 투쟁주의
- 희망 중독
- 적극적 수동성
- 주체성의 몰락
- 독자없는 시인
- 체험적 사색
- 블러디메리가 없는 세상
- 세계 속의 한국인
- 바람의 현상학
- 시의 전략
- 시의 존재이유
- 참여적 도피주의
- 반어적 악마성
- 미국의 의미
- 미국 이민자
- 고잉 홈
- 동화의 리얼리즘
- 래빗 인 더 홀
- 자유가 덧
- 새들은 하능을 자유롭게 풀어놓고
- 절망의 울음
- 꿈 속에서 꾸는 꿈
- 소망의 역사
- 시 판화전
- 경이감
- 파견자들
- 무당의 존재이유
- 여성서의 시
- 날개환상통
- 비유와 목소리
- 노동자의 전망
- 자기 응시
- 슬픔의 시
- 유랑의 시
- 은유의 실패
- 시인의 천형
- 새벽 세 시의 사자 한 마리
- 의미주의의 부패
- SNS의 사회적 영향
- 밤은 내가 가질게
- 치유로서의 문학
- 계절은 짧고 기억은 영영
- 진보의 부인
- 진실의 되풀이
- 순금의 기억
- 생명문학
- 1990년대 시
- 한의 되풀이
- 춤과 포복
- 치욕의 시학
- 표면이야기
- 바탕이야기
- 지배와 피지배의 감염관계
- 비체인생
- 이달의 이웃비
- 대위법적 세계상
- 낮은 해상도로부터
- 고통과 평화
- 작은 실천들
- 풀잎 속 작은 길
- 동물성의 세상
- 식물성의 시학
- 희귀식물 엄지호
- 최석하
- 범속한 트임
- 말이야기
- 이음과 엮음
- 청정한 시
- 울림의 공백
- 기계적 해석
- 프레임에 갇힌 비평
- 임우기
- 「풀」
- 압축미
- 참여시와 순수시
- 열린 해석의 공간
- Merleau-Ponty
- 프랑스 지식인
- 탕진의 경제학
- La Part maudite
- 저주의 몫
- Georges Bataille
- Peignot Collette
- 콜레트 페뇨
- 역주의 중요성
- 개인의 의미
- 낫이라는 칼
- 鐸舌
- 탁설
- Cassandre
- veuf
- 첫 잎사귀
- 과부의 길
- PREMIERES FEUILLES
- LE CHEMIN DES VEUVES
- 존재와 재현
- Olivier Boulnois
- 아랍의 철학
- Duns Scot
- Être et représentation
- CHANT POUR LE VENT DU SUD
- 남풍을 위한 노래
- 루이사 폴렝
- Louisa Paulin
- 따뜻한 인간주의
- 반항의 정신
- Olivier Todd
- 인공지능의 현재수준
- 생샹형 검색기
- CATHERINE POZZI
- 철학과 문학
- Lusitania호 침몰
- 세실 페렝
- Cécile Périn
- 소설의 정신분석
- 소설의 기원
- Marthe Robertorigins
- Roman des origines et origins du roman
- 구조적 활동
- 문학 vs. 연극
- 기능주의 vs. 구조주의
- 구조주의 vs. 탈구조주의
- Pauline Mary Tarn
- Renée Vivien
- 폴린느 마리 타른
- 르네 비비앙
- Olivier Reboul
- Idéologie du discours
- 담화의 이데올로기
- LA VIE PROFONDE
- CHATTE PERSANE
- 깊은 삶
- Anna De Noailles
- 안나 드 노아이유
- Classicisme
- 프랑스 고전주의
- Jean Racine
- OEILLETS
- CHUTES
- Lucie Delarue-Mardrus
- 뤼시 들라뤼-마르드뤼스
- 악의 윤리
- 양명수
- Paul Ricoeur
- 악의 상징
- 로스몽드 제라르
- Rosemonde Gérard
- LES PETITS OISEAUX
- LE VILLAGE ANCIEN.
- 작은 새들
- 옛 마을
- La folie des parfums
- Gerbe
- 향기에 미쳤네
- Marie Dauguet
- 마리 도게
- 미풍과 태풍
- BRISE ET TEMPÊTE
- 글쓰기란 무엇?
- Marie Pape-Carpantier
- 마리 파프-카르팡티에
- 혼성모방
- 신세대문학
- Lassitude
- 루이스 콜레
- Louise Colet
- 상상과 반성
- 영어로 쓰기
- 문학의 기능
- 한국문학의 미래
- 문학의 운명
- 작가의 과제
- 문학정신
- 1990년대 문학
- 내게 닥친 불행
- MALHEUR À MOI
- Marceline Desbordes-Valmore
- 마르슬렌 데보르드-발모르
- 사뮤엘 베케트
- SUR LA MORT DU JEUNE TAMBOUR BARA ÂGÉ DE QUINZE ANS
- 15세에 죽은 북치는 병정 바라의 죽음에 대해
- Constance de Théis
- CONSTANCE DE SALM (Constance de Théis)
- 콩스탕스 드 테스
- 콩스탕스 드 살므.
- 문화산업과 문학
- 한국문학의 궤주
- 반전의 부재
- 단편소설의 정석
- 사랑의 여름
- 진부한 미래
- 일그러진 장미
- 역히스테리
- 있을 법한 모든 것
- Germaine de Staël
- 스탈부인
- 원시적 문학제도
- 등단형식
- 한국의 비평가
- 일하는 비평
- 비평의 숙명
- 말하지 않는 책
- 조립생명
- 유기생명
- Sience Fiction
- 인류세 너머
- 잡학의 기능
- 넌센스의 기능
- 나의 최애에게
- 류시은
- 연작 장편
- 철학과 예술
- 시와 과학
- 이카루스의 날개와 예술
- 문학과 언어의 꿈
- 양상적 구별
- 인지 패러다임의 제안
- 예술행위
- 기능적 노미날리즘
- Adélaïde-Gillette Dufrénoy
- 아델라이드-지예트 뒤프레느와
- Buck Bokai
- 벅 보카이
- 선과 광기
- 선의 이데올로기
- 사실과 의미의 밀착
- 내발적 사실주의
- 외재적 사실주의
- 월급사실주의
- 젊은 근희의 행진
- Terreur
- 엘레오노르 드 사브랑
- Françoise Éléonore Dejean de Manville
- ELÉONORE DE SABRAN
- CHANSON D’UNE MÈRE ÉLOIGNÉE DE SA FILLE PENDANT LE RÈGNE DE LA TERREUR
- 소설 속의 철학
- Tyrcis
- STANCES IRRÉGULIÈRES
- Henriette Bourdic-Viot
- MARQUISE D’ANTREMONT
- 앙리에트 부르딕-비오
- 당트르몽 후작부인
- 밤의 공중전화
- 죽비소시
- 번역의 기준
- AI의 번역
- 영혼숭배사상
- 한국인의 집단무의식
- 건달사상
- 건달바 지대평
- 소설적 요소들
- 생의 기미
- 별일은 없고요
- 집의 상상력
- 여성주의시
- 심리적 리얼리즘
- 사실과 심리의 긴장
- 피폭 생존자
- 문학 속의 선과 악
- 공산이념 장기수
- 위선의 폭로
- 열역할 제 2법칙
- 언어위악주의
- 행복한 숨쉬기
- 후진국 지식인
- 감동하는 사유
- 스핑크스의 수수께끼
- 스승의 내기
- 한국문학의 위상
- 마리-아마블 들 라 페랑디에르
- LE PAPILLON ET LA CHENILLE
- LA POULE ET LE RENARD
- 나비와 애벌레
- 닭과 여우
- Marie-Amable de La Férandière
- 예술과 철학
- Madame J.-M. B. de La Mothe Guyon
- Les Opuscules spirituels
- 잔느-마리 부비에 드 라 모트
- 마담 기용
- 한글세대비평가
- 빌디외 부인
- 마리-카트린느 데자르뎅
- Mme de Villedieu
- Marie-Catherine Desjardins
- PRINCE DE CONDÉ
- 콩데 왕자
- Madeleine de Scudéry
- 마들렌느 스퀴데리
- 전이의 실패
- 집중된 삶
- 모태인권세대
- 초끈이론의 사회적 현상
- 닫힌 끈
- 폐쇄적 자유분방함
- 반에 반의 반
- 전진적 사이파이
- 회귀적 사이파이
- S/F
- 외계 문학 걸작선
- 보바리 부인은 나다
- 動忘
- 오해와 의심과 배반
- 헌신의 의미
- 성혜령
- 문학대법관
- '다시 읽는 한국 시인'
- Anne Picardet
- Picardet Anne
- 독자와의 전쟁
- 출판사의 기획관리
- B급 소설
- 임국영
- 가족관계의 전도
- écriture amodal
- écriture indicative
- degré zero de l'écriture
- 글쓰기의 영도
- 죽음에서 생명을
- 아이 밴 노파
-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 1980년대 문학
- 민중문학론
- 채광석
- Montaigne
- Marie de Gournay
- 마리 드 구르네
- 문학존재론
- 국가와 문학
- 고통-황홀로서의 문학
- 국가와 황홀
- 송상일
- 영적 소네트 제 10편
- SONNET SPIRITUEL X
- Gabrielle de Coignard
- 가브리엘 드 크와냐르
- 루이스 라베
- Louise Labé
- 사라진 소설가
- 책을 먹는 남자
- 나의 토리개에게
- 카트린느 드 로슈
- À MA QUENOILLE
- Catherine de Roche
- 표현의 질감
- 타자의 삶을 내장시키기
- 남겨진 이름들
- Pernette du Guillet
- 헤이 우리 소풍간다
- 써먹을 수 없다.
- 공적 폭력과 사적 폭력
- 동성애자 소설
- 비효용성과 비억압성
- 욕망형 인간
- 제 꿈 꾸세요
- 비사회인
- 여성주의의 출발
- Je suis de tout dueil assaillie…
- 실연의 시
- 나 죽을 병에 걸려
- Christine de Pizan
- 크리스틴 드 피장
- 지식의 파열
- 137개의 미로카드
- Lai du Laostic
- Marie de France
- 집단과 개인
- 나를 붙들지 마라
- 클로드 무샤르
- 무샤르
- 금지를 금지하라
- 현상학적 급진주의
- 범인류애적 전위주의
- 프랑스인의 한국문학 보기
- Claude Mouchard
- Mouchard
- 사적 공간 묘사의 의미
- 젊은 세대의 문학
- 머무름과 떠남
- 일상성의 소설
- 집과 차
- 악동소설
- 시간 속의 도적
- 항일과 친일
- 신사참배 거부
- 숭실중학교
- 도시의 향기
- 인공자연
- 가면 지우기
- 회상의 소설
- 1995년의 한국문학
- 할아버지 사랑
- 한국 가문
- 습지장례법
- 문학과 출판의 결합
- Irène Lindon
- Une Archiv
- Mathieu Lindon
- Jérôme Lindin
- 소수정신
- 미뉘출판사
- Revue Critique
- Les Éditiosn de Minuit
- 기다릴 때 우리가 하는 말은
- 챗gpt
- 후일담문학
- 시선의 권능
- 한국의 민족주의
- 『광장』
- 「해방전후」
- 민족적 과제
- 「라울전」
- 한국문학 번역상
- 살아남은 사람들의 생존방법
- 주피터의 비밀
- 독백의 소설
- 별똥별 헤는 밤
- 의미의 자리
- 후르비네크의 혀
- 한 줌의 시
- 액체 계단 살아남은 육체들
- 우리는 아무 관계도 아니에요
- 새벽에 생각하다
- 김헤정
- 유현승
- 몸 밖에서 몸 안으로
- 정호길
- 양희찬
- 이형기 문학상
- 저녁과 아침 사이 시가 있었다
- 다시 태어나는 말
- 부활하는 새
- 비상학
- 대히 속의 고깔모자
- 이향지
- 시간의 육체에는 벌레가 산다
- 디지털 시
- 박용래문학상
- 송반달
- 청소년을 위한 도서
- 「낙동강 일기」
- 「곰국을 끓이며」
- 활동규
- 아주 느린 사랑의 발걸음
- 『많은 별들이 한 곳으로 흘러갔다』
- 그리운 사람』
- 『버지니아 울프
- 『숲으로 된 성벽』
- 『마지막 도박』
- 앙리 4세
- 밤이 낮에게 하는 이야기
- 엑토르 비앙시오티
- 신화의 끝
- 현대 한국문학 100년
- 하인리히 만
- 최상규
- 올리비에 롤렝
- 포리스티 카터
- 아르투어 슈니츨러
- 출판인회의 선정도서
- 충남대학교 충대문학상
- 사라진 편지
- 김준오 시학상
- 일민문화상
- 류서재
- 류마리
- 서정시의 쇄신
- 위선환
- 박헌규
- 서울신문 신춘문예
- 김헤순
- 이산문학상
- 신인 추천
- 차미령
- 중앙문예
- 강경석
- 21세기 문학상
- 하성훈
- 최영건
- 조윤아
- 대학생 문학
- 「우리는 이미 기울어져 있었다」
- 「안개」
- 연세시문학상
- 「일필휘지」
- 「가장자리」
- 「‘자연의 신비’ 편」
- 「젊은 날의 수채화」
- 『얼굴』
- 「가난의 굴레」
- 「스물 두 번째 도로시」
- 「앵무새가 있던」
- 「공포영화」
- 우주문학
- 고독과 허무의 극복
- 사실주의의 자기배반
- 시작의 기본
- 삶과 지성
- 서울대 불문과
- 김연권
- 스승에 대한 추억
- 김광남
- 교육 현장 소설
- 청소년 명랑소설
- 권두수 선생의 낙법
- 이석멈
- 추상성과 구체성
- 테오도르 드 방빌
- 낮은 곳에 임한다는 것
- 파리의 농부
- 시와 정치
- Thédore de Banville
- 패배주의와의 대결
- 정치적 잠재현실
- 노란 원숭이
- 문지혁
- 괴로움의 베드로
- 부인과 수락
- 개를 소재로 한 세 가지 슬픈 사건
- 김병언
- 전쟁과 가족
- 형의 사진첩을 들여다보며
- 악의 드높임
- 변신의 곡예
- 권력과 원한
- 권력의 사상
- 역사를 거슬러가기
- 한국문학의 상업주의화
- 아우슈비츠와 광주
- 기이한 어색함
- 권력과 언어
- 일상적인 것과 형이상학적인 것
- 권력에 대한 부정
- 미학의 재구성
- 이미지의 붕괴
- 그 일 말고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 김유태
- 관념적 소설
- 욕망을 정화하는 욕망
- 완전한 영혼
- 회색 눈사람
- 저기 소리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
- 워싱톤 광장
- 생산과 수용의 분리
-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
- 퍼스털 컴퓨터의 구조적 특성
- 디지털 문명의 자주관리
- 상징으로서의 의미
- 녹첸에는 똥이 많다
- 절정은 있고 대단원은 없다
- 정념과 격정
- 흰 소가 끄는 수레
- 창간600호
- sentimental value
- 회억 가치
- 문의 본질
- 한국시사의 줄기
- 김종철문학상
- 겹눈의 시학
- 읽었구나!
- 양애경
- 대조 묘사
- 그 고양이의 이름은 길다
- 시인이 쓴 소설
- 여백적 방식
- 여름과 무비
- 이형기문학상
- 가능주의자
- 해바라기밭의 리토르넬로
- 창작 vs 비평
- 비평의 기능
- 더 칼럼니스트
- 김팔봉
- 문학의 숨은 표현
- 흑백논리를 넘어서
- 비국문과출신의 문학연구자
- 친일문학에서 항일문학으로
- 친일문학론
- 과학소설의 대의
- Lidley Scott
- 블레이드 런너
- 판타지와 S/F의 혼합
- 휴먼의 근사치
- 반가사유상의 미소
- 나의 사랑스럽고 지긋지긋한 개들
- 진연주
- 치욕 훈련
- 이야기의 기능
- 시기와 질투
- AlphaFold
- 선한 아이들
- 게임의 형식
- 아이 학대
- 확장 현실
- 자아의 완강함
- 대체 역사
- 확장 소설
- 문체실험
- 삶의 무의미
- 도시의 감옥
- 잔인한 도시
- 고전적 정신
- 근육의 문체
- 달과 칼
- 변신욕망
- 자기고집
- 인간됨에 대한 집착
- 반려자의 상실
- 유령의 마음
- 유령의 마음으로
- 임선우
- 자코메티적 발견
- 문심정연
- 이 한국문학사
- 일본어로 글쓰기
- 일본 무의식
- 한국인과 일본
- 한국의 지성
- 선생님의 역할
- 한국의 현자
- 유령의 삶
- 자본주의의 미분화된 상태
- 인생연구
- 약한 자의 슬픔
- 상황참여주의
- 대물림 트라우마
- 헬프 미 시스터
- 탈출의 욕망
- 근대인의 삶의 형식
- 창조적 주관
- 자발적 무지
- 지식과 지식관리
- 자유 언론 실천 선언
- 상호존중의 합리주의
- 문학과 정치
- 목포 중앙로
- 만주주의
- 이데올로기 비판의 허구
- 한국문학의 다양성
- 문학을 하는 이유
- 불모성의 세계인식
- 공간 대비
- 시간 터널
- 은의 세계
- 그들의 이해관계
- 문체는 사람
- divide vs individed
- 나누어지지 않는 자
- 소수적 인간
- 아무 것도 아니라고 잘라 말하기
- 자연발화로서의 의식
- 두고 온 것
- 마음에 없는 소리
- D'Allembert
- 세밀다성악
- micropolyphonie
- 음악의 자유
- 음악과 삶
- 지르지 리게티
- 음악 이전의 책
- 러브 노이즈
- 상상육아
- 모태인권 세대
- 브로콜리 펀치
- 단순명쾌한 묘사
- 유동시학
- 부랑인생
- 우울 판타지
- 생체험의 시
- 동리목월문학상
- 백지원
- Deep Space Nine
- 선릉산책
- 현호정
- 김은
- 당신의 아름다움
- 0%를 향하여
- 시의 힘
- 미기후
- 풀 베는 날
- 지독히 다행한
- 책읽기의 체질화
- 출파 이념의 실종
- 출판사의 상업화
- 문학교육의 실패
- 한국소설의 부재
- litote
- 주체적 여성
- 발은 밤
- Le livre brisé
- Un amour de soi
- 세르쥬 두브롭스키
- 공적 사생활
- 눈으로 만든 사람
- 사적인 것
- 형식의 무기력
- 기승전결의 부재
- 몸의 들림
- Phllippe Lacoue-Labarthe
- Jean-Luc Nancy
- 새로운 공동체
- 장-미셸 라바테
- 필립 라쿠-라바르트
- 안드로메다로 가는 배민 라이더
- 나보다 더 오래 내게 다가온 사람
- 사물들의 윤리학
- 김휘승
- 주창윤
- 1990년대 시인들
- 고문자
- 분석의 힘
- 프루스트를 읽다
- 주제와 형식의 상응
- 공적 문제제기
- 상호존중문화
- 불간섭문화
- 개입문화
- 보통 맛
- 최유안
- What am I?
- 잉글리쉬 하운드 독
- 머선머신
- Laura Kasischke
- 위선의 독자
- 술과 바닐라
- 괴물로서의 자기
- Pierre Corneille
- 자기허구
- 핀슨홀
- 윤동주기념관
- 이행과 성찰
- 4.19 세대
- 개성의 성취
- 자기 폭로
- 자본주의의 적
- 인간의 법정
- 바늘과 가죽의 시
- 불멸과 필멸
- Isac Asimov
- Jean Rousset
- 정보적 지성
- 소섷의 생존
- ECRIRE
- 언어의 세공
- 비유의 힘
- 환한 숨
- 원시와 문명의 순환
- 자기성찰의 필요
- 한국인의 진화사
- 우주보다 낯설과 먼
- 텐트연극
- 21세기 소설가들
- 뤼시 앙게방
- Lucie Angheben
- 언어의 다른 방식의 소통
- 가능성의 무한과 가능성의 제로
- 다른 세계에서도
- uncanny
- 도병찬
- 내 인생의 음악
- Daniel Con Bandit
- 드골주의
- Pedophile
- Guy Sorman
- 번역의 중요성
- 유엔 한국통릴부흥위원회
- 언커크
- 영원한 유산
- 정보다위의 기능
- 이웃이야기
- 이완의 자세
- 김유담
- 석정남
- 한국사실주의의 맥락
- 21세기 초엽의 소설
- 리얼리즘의 귀환
- public sphere
- parallel polis
- 병행정치
- 한국의 공산주의자들
- 정 웰링턴
- 현 앨리스
- 모든 것은 영원했다
- 우리의 사람들
- 브리꼴라쥬로서의 글쓰기
- 제유적 글쓰기에 반대하기
- 환유적 글쓰기
- 앨리스 앨리스 하고 부르면
- 우다영
- 영혼의 속삭임
- 노라와 모라
- 소설적 아이러니
- Homme révolté
- 감염병과 인간의 윤리
- 천재론
- 사유와 생각
- 캠프 세네카의 기지촌
- 신길상 선생님
- 장-루이 크레티엥
- 한국시의 리듬
- Jean-Louis Chrétien
- 목소리와 시
- 한국여성사
- 1910년대
- 이혼 법정에 선 식민지 조선 여성들
- 소현숙
- Nicolas de Stael
- Soljenitsyne
- Caspard David Friedrich
- 카스파르 다비드 프리드리히
- 새해의 의미
- 사회적 리얼리즘
- 제유적 소설의 개인화
- 세대의 변모
- 사실적 구체성
- 바비의 분위기
- 청결한 시선
- 취락주의
- 복자에게
- 너라는 생활
- 한국소설의 추세
- 고유명사의 사용
- 개연성의 저하
- 제52회 동인문학상
- 반유태주의
- 역사의 반복
- 편견과 풍문
- Proudhon
- 진실의 빈곤
- 인용의 법칙
- 눈도장과 눈동자
- 연구자집단
- 산책하는 사람에게
- 가능태의 최대치
- 유년의 시선
- 안태운
- les montagnards
- 산악파
- Robespierre
- 테르미도르 반동
- Thermidor Reaction
- heaumière
- 투구장수 아낙
- Rutebeuf
- 최초의 근대시
- 개인을 노래한 시
- 뤼트뵈프
- 프랑수아 비용
- 이채산
- 오혜혁
- 생명의 본성
- 디지털 이미지
- 미디어 프로퍼간다
- 대중조작
- 계단형 낙하
- Blanchot
- 근대 너머
- 모방과 참조
- 제목의 상업주의
- 문학애호가
- Peter Bentley
- 외국 거주 한국 시인
- 그냥 가라 했다
- 강남옥
- 버섯 농장
- 공간의 망실과 시간의 생존
- 사라진 세계
- 동물의 자서전
- 문학의 고독
- 강제이주사
- 떠도는 땅
- Edward Hall
- 세상의 악
- File System Objec
- 데이타베이서
- 임후성
- Bourdieu
- 한국 지식인들의 무의식적 욕망
- 한래희
- 오형엽
- 조강석
- 김현 30주기
- 확산형 하이퍼텍스트
- 새로운 예술의 해
- 재뢰아
- 양ㅎ의준
- 곽은영
- 주희영
- 김형정
- 디지털 허균
- 삼보정보시스템
- 김창헌
- 고별사
- 이달의 작품
- 하이퍼텍스트문학에 대한 비판
- 탐험 범
- 시배열도
- 디지털환경과 문학
- 작업원칙
- 아이퍼텍스트와 문학
- 우리의 환대
- 더러움의 숭고함
- 최규승
- 시대와의 불화
- 스스로를 위한 광대
- 연극적
- 사치와 고요
- 언어의 기능
- 내가 말하고 있잖아
- 사소한 행복주의
- 해골과의 동숙
- 미미상
- 적어도 두 번
- 당신의 4분 33초
- 사적 감정의 공적 기준화
- 공적인 것의 기능 불량
- 작은 이야기 vs 큰 이야기
- 한국문학의 사적 경향
- 유럽적 공정성
- 디지털 사회의 괴물성
- Bernard Stiegler
- 베르나르 스티글레르
- 디테일 묘사의 문제
- 외연확장 글쓰기와 주제집중 글쓰기
- 일기로서의 시
- 22:Chae Mi Hee
- 신문의 문화 수준
- 마음의 단장
- 조근조근한 시
- 외계행성 사과밭
- 고광식
- 노동자가족
- 2020년의 한국문학 현황
- 서양의 동방정책
- 강희근
- 생활시
- 아는 사람만 아는 배우 공상표의 필모그래피
- 동성애문학
- 한국문학의 몰락
- 자긍적 자기강박
- 우울과 설움
- 한국근대시의 시작
- 한국문학연구풍토
- 발견된 문학
- 김미지
- 박윤우
- 이원하
- 어조의 해방
- 비유의 해방
- 젊은 시인들
- 2020년대
- 윤형진
- 거울단계
- 디자인 하우스 센텐스
- 이미지 문체
- 폭죽무덤
- 아담의 첫 번째 아내
- 언어와 현실
- DS9
- 코로나 19
- 코로나 사태
- N번방
- 문학치료
- 김홍
- 박경리문학상
- 인류세
- 플랫폼 노동자
- 장희원
- 자크 데리다
- 황색지
- 삶이야기
- 물과 불
- 조진주
- McCarthyism
- 차명희
- 1980년대생
- 구광모
- 우력
- 김초엽
- 헤드라이너
- 안윤
- Shohei Ohtani
- 기준영
- 송승철
- 로봇세
- 포켓몬 세대
- 그이가 온다
- RACINE
- 원경화
- Marcel Proust
- 감상성
- 언어과잉과 언어결핍
- 유에서 유
- 스타 트랙
- 나를 만지지 마라
- 행동과 관조의 분리
- 김영량
- 서정적 자아
- Man Booker International
- 맨 부커
- James Joyce
- 대화의 힘
- 친구 스펙타클
- 문학의 생존
- 영화 동주
- 책 스캔
- 서정시의 자아
- 보편적 자아
- 세계의 자아화
- 윤덕영
- 벽수산장
- 전해라
- 모바일 문화
- 우리주의
- nouisme
- 통제사회
- 오타니 쇼헤이
- 카페 프란스
- 타자의 발견
- 자기 인식
- 김금희
- 동북아시아문학
- 한중작가회의
- 박솔뫼
- 문화전통
- 한중시인회의
- emoi
- Jacques Prévert
- Aristoteles
- 한국지식인
- 임수현
- 슬픔이 없는 십오초
- 이윤영
- 백민석
- 임솔아
- 동망
- 임현
- 한국인의 집잔무의식
- Jabès
- Deforges
- 레진 드포르쥬
- De Klerk
- 알렝 레네
- Alain Resnais
- Pierre Herbart
- Muséee de Paul Valéry
- Sète
- Le cimetière marin
- 아이티 시인
- 메켈뤼스
- 백승룡
- 시정신
- 조주형
- COCTEAU
- Jean Cocteau
- 무의미의 소비
- 의미결여의 소비
- 김영산
- 손보미
- 김이듬
- 강정아
- bricolage
- 신진화론
- tinkering
- Jacob François
- 프랑수아 자콥
- 근대소설
- 느낌씨가 오고 있다
- 황혜경
- Pontalis
- 퐁탈리스
- 래여애반다라
- 한국의 마르크스주의
- 민중문학
- 윤혜준
- 전쟁 소설
- 정병준
- 살아남은 아이
- 한경미
- 정인화
- 세대 갈등
- 황현산
- 이애란
- 프랑스 철학
- 대산세계문학총서
- 박연준
- 류가미
- 조광희
- Juliette Greco
- 권정현
- 1974년
- 덴동에미전
- 프랑스 한국시 포럼
- PO&SIE
- 아드리안 리치
- Gil Scott-Heron
- 타인에 대한 배려
- piaf
- 시사사
- 문학지망생에게
- 문학의 진리
- 감춤의 미학
- 띠알로 띠알로
- 정현옥
- 21세기 초엽 한국소설
- aragon
- 정재혁
- 이이체
- 유경희
- 기 드보르
- Museo Reina Sofia
- Tiphaine Samoyault
- 주현진
- Raymond Roussel
- 레이몽 루셀
- 소피아미술관
- 경계의 삼부작
- 인간의 비극
- 인간의 죄악
- 인간의 탐욕
- 새벽의 나나
- 핸드메이드 픽션
- 무의식의 욕망
- 교육담당자들
- 채희윤
- 신동준
- Milton
- 짙은 백야
- 장철환
- 오생근
- 어떤 작위의 세계
- 진입으로서의 그림
- 이기성
- 문학의 스펙타클화
- 잔아문학박물관
- 환유
- 대중문학과 본격문학의 갈등
- 투우로서의 글쓰기
- 젊은 비평
- 달팽이 사냥
- 김대산
- En attendant Godot
- notes et variantes
- 주석과 변이
- 원전비평
- 신화를 삼킨 섬
- 병신과 머저리
- Library of America
- Bibliothèaue de la Pléiade
- 라이브러리 오브 아메리카
- 플레이아드
- 이청준 전집
- 분열적 상상력
- 파묻힌 얼굴
- 오정국
- 동상욕망
- 문학자리
- 개짖는 소리
- 저녁의 구애
- 편헤영
- 토마토가 익어가는 계절
- 눈 앞에 없는 사람
- 디지털 문명
- American Poetry
- North American Time
- 목포문학관
- 김현문학관
- 김성중
- 프랑스적 관용
- Auguste Rodin
- 남도기행
- 북한소설
- 동무들
- 환상의 사물화
- 그녀가 보인다
- 어른스런 입맞춤
- 이명현
- 인류 멸망 그 후
- 이란 소설
- Shahriar
- Mandanipour
- 만다니푸르
- 육지와 바다의 불화
- 허남준
- divorce
- 수필형식
- 오늘 아침 단어
- 유희경
- Waiting the Barbarian
- Cavafi
- Cavafys
- 카바피스
- 프랑스인의 눈으로 본 한국문학
- 문화접변
- 정신분석비평
- 벨멩-노엘
- 서양학문의 수용
- 인간과 사회
- 인문사회연구
- 한불문학교류
- 해외 한국문학포럼
- 2010년대의 한국소설
- 조너선 프랜즌
- 화성의 타임슬립
- 차페크
- Asimov
- 보통의 독자
- Virginia Woolf
- 아시안 아메리칸
- 멋진 추락
- 순수 개인
- 유리 그림자
- 한국어 어휘
- 사람의 깊이
- 풍경의 깊이
- 킨 아웅 에이
- 싹씨리 미쏩씁
- 응웬 꽝 티에우
- 시인 축전
- 한국과 아시아
- 선과 모터사이클 관리술
- 피어시그
- Pirsig
- European History
- 유럽 현대사
- Goya
- 홋타 요시에
- 선택의 어려움
- 지금이 아니면 언제
- 실천적 지식
- 글쓰기의 이유
- 별어곡
- 이별하는 골짜기
- La Melody
- Francis Ponge
- 프랑시스 퐁쥬
- 양떼를 치는 사람
- Roberto Juarroz
- Andre Velter
- 앙드레 벨테르
- Edmond Jabes
- 가을과 신생
- 나의 요양원
- 나의 연못
- 한 눈빛
- 나의 오식
- 정현종의 꽃잎 2
- 신경림의 새
- 하기락
- 허유선생
- 얼굴없는 시인
- Saramagu
- 피에르 로티
- Alain Delon
- 리쾨르
- 정영선
- 정숙자
- 김치수
- 집단무의식
- 최제훈
- 이왕주
- 허영자
- 생각의 깊이
- Franzen
- 박정애
- 조용미
- 오장환
- 이용악
- 서수진
- 시론
- 문학과사회
- 이하석
- 청소년 도서
- 방면
- 6.8혁명
- 백남영
- 최진욱
- 멧비둘기
- 이갑수
- 함기석
- 미네르바 신드롬
- 인간중심주의
- 강영숙
- amour
- 시부문
- Greco
- 그럼에도 불구하고
- 동아일보 신춘문예
- 박서원
- 위대한 침묵
- bataille
- 이상(李箱)
- 최완수
-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을 꿈꾸는가
- 김붕구
- 와사등
- 박민정
- 문학청년
- 인정투쟁
- 서정인
- 경주 남산
- 김광호
- 한국현대시
- 추일서정
- 작업방식
- 그대에게 가는 길
- 오에 겐자부로
- 민족문학
- 아름다운 날
- 베케트
- 하인리히 뵐
- 악의 평범성
- 단 한 사람
- 배한봉
- 프랑스 혁명
- 재즈 바
- 바톤 핑크
- 숨은 힘
- 추모의 글
- 열린 마음
- 기다림의 미학
- 용서와 화해
- 미의식
- 매잡이
- values
- 비자나무숲
- 전통과 혁신
- 반항인
- 80년 광주
- 팬데믹
- 김미수
- 시를 쓰기 위하여
- 김연신
- 몸에 피는 꽃
- 극장이 너무 많은 우리 동네
- 생은 아름다울지라도
- Berman
- 여는 글
- 이민하
- 서원동
- 전순영
- 메를로-퐁티
- 세대론
- 살붙이 정서
- 본동에 내리는 비
- 윤중호
- 채플린 채플린
- 염승숙
- 천사들의 도시
- 영종섬길
- 해가 떠올라 풀이슬을 두드리고
- 이야기 시
- 천둥을 기리는 노래
- 김용락
- 길은 멀다 친구여
- 유병근
- 또 나뭇잎 하나가
- 젊은 무덤
- 유재영
- 거울 속의 새
- 김명리
- 임영조
- 머리 흰 물 강가에서
- 잘 익은 사과
- 채호기
- 아침 출근
- 바닷가 물새
- 최종천
- 노향림
- 알긴 뭘 알아
- 정진규
- 밤과 별
- 조영서
- 이우걸
- 한 번 만의 꽃
- 줄탁
- 재입원 이틀째
- 로베르토 후아로즈
- 페소아
- Pessoa
- 김종광
- 달의 제단
- 프리모 레비
- 민족의식
- 나태주
- 임화
- 구자명
- 강혜빈
- 개인성
- 장은진
- 사랑의 꿈
- 이주자
- 로베스피에르
- 매카시즘
- Honfleur
- 이수익
- 최은미
- 환대
- 프랑스시
- 이종민
- 로르카
- Beckett
- 남해금산
- 조현
- 아름다운 강산
- 정영훈
- 위험한 독서
- Individual
- 서울 1964년 겨울
- 김솔
- 소아성애
- Lorca
- 그 여름의 끝
- 문화전쟁
- 정상혁
- 빨치산
- 코맥 매카시
- 차원이동
- 숨통
- 심윤경
- 골드러시
- 1930년대
- 노고지리
- 윤영돈
- 애니미즘
- 정지민
- 문학이란 무엇인가
- 한국근대사
- 정지아
- 신종원
- 이경아
- 손창섭
- 김중혁
- 윤성희
- 안보윤
- 솔제니친
- 전위
- 공포정치
- 패랭이꽃
- 카바피
- 오은
- 열린 사회와 그 적들
- 평균율
- 김기진
- 철쭉제
- 자유민주주의
- 책제목
- 스펙타클
- 김운하
- 실험예술
- 이명준
- 이상길
- 생명사상
- 눈 먼 자들의 도시
- Darwin
- 툰드라
- 슈바이처
- science fiction
- 강계숙
- 바다 장어
- 엄경희
- 귄터 그라스
- 정혜경
- 해고노동자
- 김현구
- 김상미
- 한나 아렌트
- 코엔 형제
- 사회성
- 장 콕토
- 전락
- 김현문학전집
- 어떤 개인 날
- 강석경
- 전사섭
- 최두석
- 전성태
- 임종
- 디아스포라
- 염무웅
- 백비
- Mandela
- 이정옥
- Noli me Tangere
- Platon
- 최문자
- 김정아
- 오트 쿠튀르
- 신동재
- 김종호
- 에디트 피아프
- 전형
- 김인환
- 손열음
- Souvenir
- 김여진
- 윤후명
- 곽광수
- Michel Foucault
- Jean-Paul Sartre
- 68혁명
- 윤동주문학상
- 허난설헌
- 근대인
- 조연호
- 최은영
- 유종인
- 자아실현
- LLM
- 추천사
- 구조적 차별
- 서유미
- 김영찬
- 김인숙
- 이인성
- 모듈화
- 유종호
- 백양로
- 이준규
- 이정주
- 사이
- 상생
- 고형렬
- 김중식
- 문학교육
- 되새김
- 마크 트웨인
- 김유진
- 이주란
- 개똥철학
- 김영남
- 박희정
- 공해
- 이유리
- 다작
- 이원
- 하류인생
- 안달루시아
- 이재룡
- 수상소감
- 원죄
- Conscience
- 보르헤스
- 박남철
- 1980년대
- 김화영
- Camus
- 중개인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 이영희
- 조경란
- 달궁
- 김숨
- 성귀수
- 순자
- 이영유
- 김경미
- 신인문학상
- 유고집
- 시전집
- 이명랑
- 윤흥길
- 성장소설
- 이윤옥
- 분홍신
- 문학비평
- 송기원
- 환영
- 최지은
- 양주동
- 미셸 푸코
- 김동인
- 박진성
- 한국문학사
- 사생활 보호
- 사랑시
- 홍등
- 가사노동
- 르 클레지오
- 산문
- 박목월
- feminism
- 김연경
- 미당
- 유동우
- 동아시아
- 적대
- 야만인을 기다리며
- 부조리
- 어른을 위한 동화
- 한국문학
- 김혜진
- 박상륭
- 분자생물학
- 동주
- Umberto Eco
- 김경욱
- 서하진
- 옴니버스 소설
- 부르디외
- 홍성호
- Schweitzer
- zen
- 한국여성
- 겨울나무
- 김용만
- 노동시
- 박범신
- 아이작 아시모프
- 제망매가
- 이창동
- 조은
- 아라공
- 이문구
- 서정주
- 김광섭
- 권여선
- 김춘수
- 김기태
- 목구멍
- 한국시
- 김애란
- 2020
- 속
- 필립 K. 딕
- 페르시안 고양이
- 어깨
- 대중소설
- Primo Levi
- 알랭 들롱
- 장현
- blindness
- 이승우
- 정해종
- 객체지향프로그래밍
- 디오니소스
- 아폴론
- 이수진
- 소셜 네트워크
- 현대시
- 복거일
- 아이 로봇
- emotion
- 채식주의자
- 박경리
- Roman Polański
- 대중
- 조병화
- 송승환
- 흠
- 허물
- 욥
- 미국소설
- 왕따
- 마드리드
- 고야
- 비극
- 김영욱
- nancy
- 그로테스크
- 광주항쟁
- 기타노 타케시
- 나는 너다
- 김기창
- 서문
- 아시모프
- 문장
- 노벨상
- 장한몽
- I ROBOT
- 송몽규
- 종달새
- 만델라
- 연작소설
- 환상문학
- 송찬호
- 오감도
- 김영민
- 영상언어
- 하진
- 신중현
- Jesus
- Edith Piaf
- Chanson
- 중간보고
- 아나키스트
- 라벤더 향기
- 양귀자
- Orwell
- 서시
- 인문학
- 돌연변이
- 정직성
- Job
- 정신승리법
- 일간지 서평
- 데리다
- 이현석
- 이선
- 마르크스
- 연세대
- 교감
- 최진영
- 이동욱
- 정이현
- 김형중
- 이정록
- 자연사박물관
- 임철우
- 우수
- 적그리스도
- 신세대
- 한승원
- 조지 오웰
- 심청
- 이장희
- 분열
- 알베르 카뮈
- 민족주의
- 시기
- 검열
- 이순원
- 고해
- 악
- 개화
- 양심
- 인터넷 문화
- 이태준
- 전대호
- 이정
- 이혼
- freedom
- 김희철
- 최윤
- 임진왜란
- 풍자
- 니체
- 플롯
- 2000년
- 박용하
- 김형영
- 인어이야기
- AI
- 우연
- Chomsky
- 김선영
- 2차세계대전
- 삼척
- 이수현
- 공각기동대
- 박지영
- 함석헌
- 정영문
- 실연
- 소통
- 추리소설
- 마산
- IMDB
- 농담
- 함민복
- 이승훈
- 이윤기
- 고독
- 오규원
- 여성주의
- 성차별
- 디젤
- 신데렐라
- 허수경
- 김희선
- 페미니즘
- France
- 가상현실
- 강의
- 타자
- 이어령
- 혁명
- 이수경
- 한국전쟁
- 마종기
- 류진
- 유하
- 불꽃놀이
- 집
- 겸손
- 전태일
- 구조주의
- 고령화
- 최인호
- 독서노트
-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 문화
- 장미의 이름
- 몽테뉴
- 김인식
- 예수
- 지식인
- 한국인
- 폭포
- 죄
- 박정석
- 셀카
- 자살
- 서울신문
- 다윈
- 교육
- 프랑스
- 수학
- 6.25
- 비빔밥
- 개그맨
- 스웨덴
- 질투
- 이미지
- 부활
- 트럼프
- 고향
- 에세이
- 반성
- 친구들
- 가치
- 북한
- 오류
- 고도를 기다리며
- 스페인
- 기독교
- 신경림
- 김형석
- 임현정
- 광주
- 박노해
- 김영랑
- 김소월
- 4.19
- 김광규
- 기형도
- 강은교
- 죽음
- 플라톤
- 바흐
- 바다
- 위선
- TV
- 말장난
- 독서
- 나
- 공지영
- 책
- 기억
- 호기심
- 개인
- 책읽기
- 꽃다발
- 판타지
- 패러디
- 악수
- Populism
- 반전
- 눈
- 기다림
- 추억
- 진화
- 서평
- 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