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류 (2)
정명교(정과리)의 문신공방
※ 아래 글은 2014년에 발표된 것이다. 그 이후 ‘한류’에도 엄청난 변화가 일어났고 필자의 생각에도 얼마간의 변화가 있었다. 하지만 기본적인 입장은 여전하다. 『문신공방 2』에 실렸기에 블로그에 올리며, 사실적 자료로서도 유의한 면이 있다고 생각한다. I. 한류 현상의 실제와 범위 한류는 1990년대 말부터 한국의 대중문화가 동남아의 대중들에게 열광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즉 한류란 국제적 규모에서 향유되는 한국 대중문화와 그 수용 현상을 묶어서 가리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한국에서 제작되었고, 다른 나라의 문화와 변별되는 독자적인 문화적 특성을 공유하며, 한국에서의 향유에 그치지 않고 낯선 외국의 수용자군의 많은 수가 탐닉하게 되어 세계적인 인정을 받게 된 대중문화들과 ..
“김일성일가체제가 핵무기를 보유함으로써 결정적으로 외부의 압력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게 되었다 하더라도, 북한 주민의 지지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은 여전히 변함이 없다. 그런데 몇 개의 상품과 몇 종류의 DVD가 이 무지의 갑주를 깨뜨려버릴 수도 있다.” 북한전문가인 안드레이 란코프Andreï̈ Lankov가 한 말이라고 『누벨 옵세르바퇴르』10월 3일자(2552호)가 전하고 있다. 최근의 북한을 취재한 기사, 「세상에서 가장 닫혀 있는 나라로의 여행」의 후반부에 지하유통망을 통해서 한국의 드라마가 북한에 퍼져나가고 있는 현상을 소개하면서 결론삼아 인용한 것이다. 그 앞에 옮겨진 재일교포 기자가 했다는 말은 다음과 같다: “이 통속극들이 북한 사람 모두를 열광시키면서 북한은 지금 남쪽 문화에 젖어들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