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김보영 (2)
정명교(정과리)의 문신공방

※ 아래 글은 제 54회 동인문학상 여덟 번 째 독회에 대한 심사평이다. 조선일보 홈페이지에서도 읽을 수 있다. 신문사의 양해를 얻어 블로그에 싣는다. 과학은 ‘사이파이Syfy’(과학소설)에게 있어서 필요조건이라기보다는 충분조건이라고 여겨질 때가 많다. 특히 한국에서의 과학소설들은 과학적 지식과 환상적 요소들을 뒤섞는 일이 빈번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 판타지와 과학소설의 정향은 기본적으로 상극이다. 판타지가 잃어버린 왕국에 대한 향수에 기초해 있다면 과학소설은 미지에 대한 탐구이다. 그 점에서 본다면 김보영의 소설, 『종의 기원담』(아작, 2023.06)은 정통 사이파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 소설은 ‘인류세’를 넘어 먼 미래의 로봇이, 로봇의 시각으로, 로봇의 방식으로, 로봇의 지..

※ 아래 글은 제 54회 동인문학상 여덟번 째 독회에 대한 심사평이다. 조선일보 홈페이지에서도 읽을 수 있다. 신문사의 양해를 얻어 블로그에 싣는다. 이번에 후보작으로 선정된 김보영의 『종의 기원담』을 두고 이를 신작으로 볼 것인지에 대해 논의를 해야만 했다. 왜냐하면 세 편의 단편들을 연작으로 묶어 놓은 이 책에서 두 편은 이미 오래 전에 출간된 작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마지막 작품이 보태짐으로써 이 소설이 장편의 모습을 갖추며 완성되었다는 점에 심사위원들은 동의를 모았다. 그 이전까지 작가가 발표한 「종의 기원」들은 연속된 단편들일 뿐이었다면, 『종의기원담』은 연작 장편인 것이다. 덧붙여 후보작에는 올리지 못했지만, 신진 류시은의 『나의 최애에게』(은행나무, 2023.06)가 주목을 끌었음을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