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문학과 철학 (3)
정명교(정과리)의 문신공방

이 책(윤호병 역, 문예출판사)은 온건하고도 논쟁적인 저서, 아니, 온건하기 때문에 논쟁적인 저서이다. 뒤에서부터 말하자. 왜 논쟁적인가? “서구에서 문학비평은 문학이 소멸되어야 한다는 소원과 함께 출발하였다”는 도발적인 첫 문장에 그 논쟁의 핵자가 숨어 있다. 문학을 소멸시킬 것을 주장한 그 문학 비평이 바로 플라톤의 『공화국』이라면, 그 주장과 함께 출발한 것은 또한 철학에 의한 문학의 지배의 역사이다. 플라톤은 시인을 추방하려고 했고, 칸트는 문학을 일상적 삶의 영역에서 떼어내어 “지옥의 변방으로 이동”시켰으며, 푸코․데리다 등의 현대철학자들은 문학을 전문가들만의 “복잡미묘한 놀이와 쾌락”의 대상으로 만들어 버렸다는 것이다. 이것이 저자가 단토(Danto)의 용어를 빌어 “철학적 권리박탈”이라고 부..

제목이 수상하다(강지수 외 『문학과 철학의 만남』, 민음사, 2000). 문학과 철학의 만남? 언제 그들이 안 만난 적이 있던가? 적어도 문학 쪽에서 보면 아니다. 50년대의 실존주의, 60년대의 한국의 이념형에 대한 탐구, 70년대의 비판 철학, 80년대의 마르크스주의 그리고 90년대의 해체 철학은 모두 문학의 마당에서 문학의 몸을 통해 표출된 것들이었다. 현대의 한국문학은 철학하기, 다시 말해 진리에 대한 간구를 떠난 적이 없었다. 그렇다면 이 책은 뜬금없는 게 아닐까? 아니다. 어떤 불길한 징후가 이 책에 실린 글들을 뭉치게 하고 있다. 그 징후는 셋이다. 우선 문학 쪽에서. 언제부턴가 한국문학은 철학을 떠나고 있었다. 진리의 울타리를 뚫고 나가 환상의 대 열락 속으로 빠져들고 있었던 것이다. 장경..
철학자는 시를 꿈꾸고 시인은 진리를 소망한다.플라톤이 자신의 공화국에서 시인을 추방하려 했다는 것은 오래된 고정관념 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이 관념은 과장된 것이다. 그는 시인을 추방하려하기보다 시인에게 제한을 두려고 했다. 흔히 거론되는 『공화국』, ‘제 10장’(플라톤의 『공화국』의 인용은, OEuvres Complètes, Tome VI~VIII, Textes établis et traduits par Émile Chambry, SOCIETE D'EDITION ≪LES BELLES LETTRES≫, 1974~1989에 근거한다.)의 첫 머리에서 그는 “자신이 세우려는 공화국이 최고의 공화국이 될 것”이라고 확신하면서, 단 그것을 위해서는 “시를 규제할 방안을 생각”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 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