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목록노동자의 전망 (1)
정명교(정과리)의 문신공방

백무산의 시집, 『그 모든 가장자리』(창비, 2012)는 노동시의 존재이유에 대해 근원적인 질문을 제기한다. 그는 노동자 시인이었다. 지금도 그러한가? 그의 시에 등장하는 어휘들은 여전히 그 호칭을 추억하고 있다. “변두리 불구를 추슬러온 퇴출된 노동들”(「예배를 드리러」) 같은 시구가 그것을 또렷이 보여주지만, 그보다는 그가 ‘노동’을 “더 작게 쪼갤 수 없는 목숨의 원소들”이라고 지칭하는 데서 그의 추억의 끈덕짐이 더 진하게 드러난다. “생산수단을 소유할 수 없어서 자신의 노동력을 상품으로 팔 수밖에 없는 존재”가 ‘프롤레타리아’라는 마르크스의 정의가 매우 강렬한 실존적 의상을 입은 채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노동자적 정념 혹은 사유의 지속을 시인은 어쩔 수 없이 추억의 범주 안에 넣을 수밖..
문신공방/문신공방 둘
2024. 3. 15. 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