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울림의 글/산문읽기 (4)
정명교(정과리)의 문신공방
『누벨 옵세르바퇴르 Le Nouvel Observateur』의 웹사이트에서 본, 소피 들라셍Sophie Delassein이 쓴 기사, 「에디트 피아프와 장 콕토 : 영원토록 Édith Piaf et Jean Cocteau: à la vie, à la mort」에 의하면, 그저께 즉, 10월 10일은 에디트 피아프가 타계한지 50년이 되는 날이라고 한다. 장 콕토는 그 다음날 그녀의 추도사를 쓴 직후에 사망했다고 한다(Wikipedia에 실린 장 콕토에 대한 아주 공들인 해설을 보니, 장 콕토의 죽음을 발표한 장 마레Jean Marais는, 피아프의 죽음이 장 콕토의 사망의 원인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기자는 이 사실을 전하면서, 장 콕토가 에디트 피아프의 자서전, 『다복한 무도회에서』에 쓴 「서..
이건수 교수가 편역한 『보들레르의 수첩』(문학과지성사, 2011)의 ‘여는 글’은 「문학청년들에게 주는 충고」이다. 이 글 안에 두고 음미할만한 대목이 있어서 적어둔다. “내가 좋아하고 높이 평가하는 사람들 중 여럿은 외젠 쉬, 폴 페발 등 요즘 활동하는 산문가들이 최근에 얻은 명성에 대해 분노를 터뜨린다. 하지만 이 사람들은 비록 경박할지언정 나름대로 재능이 존재한다. 내 친구들의 분노는 우스꽝스럽거나 거의 중요하지 않은 것이다. 왜냐하면 이같이 화내는 것은 시간 낭비이며, 세상사 중에서 가장 무가치한 것이기 때문이다. 관건은 심혈을 기울여 완벽한 형태를 갖춘 순수문학이 유행을 타는 대중문학보다 우월한가 어떤가를 알아보는 것이 아니다. 그 답은 적어도 나에게는 너무나도 명확하다. 하지만 이 답 또한 반..
푸른 망아지의 호기심으로 가득찬 독서노트 버지니아 울프, 『보통의 독자』, 박인용 옮김, 함께 읽는 책, 434쪽, 11800원 우리에게 흔히 ‘의식의 흐름’이라는 난해한 소설 기법으로 알려져 있는 영국의 여류 소설가 버지니아 울프의 독서노트이다. ‘추천의 글’을 쓴 전은경 교수에 의하면, 이 노트는 그의 대표작인 『델러웨이 부인』과 같은 시기에 씌어졌다.“점심 전에는 소설, 오후에는 에세이”를 썼다는 것이다. 창작의 긴장을 “식히기” 위해서였을 거라고 추천자는 적고 있다. 그랬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휴식의 운동은 보통 활기차지 않다. 버지니아의 독서는 문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는 작가의 글쓰기의 생애 전체를 주파한다. 마치 호기심에 가득 찬 망아지처럼. 그렇게 뛰어다니며 삶을 글과 대비시키..
산 체험으로부터 솟구치는 역동적인 생각의 파도 조지 오웰 에세이, 『나는 왜 쓰는가』, 이한중 옮김, 한겨레 출판, 15.4x22.4cm, 18,000원 『동물농장』과 『1984년』의 작가 조지 오웰은 실천적 지식인의 전형이다. 실천적 지식인이란 누구인가? 자신이 가진 지적·언어적 능력 및 기능을 세계의 갱신을 위해 싸우고 있는 자신의 삶에 최대한도로 밀착시키는 사람이다. “1936년부터 내가 쓴 심각한 작품은 어느 한 줄이든 직간접적으로 전체주의에 ‘맞서고’ 내가 아는 민주적 사회주의를 ‘지지하는’ 것들이다”(「나는 왜 쓰는가」)와 같은 구절이 그대로 가리키듯 그에게 삶과 글은 결코 나누어지지 않는다. 게다가 이어지는 문단에서 “지난 10년을 통틀어 내가 가장 하고 싶었던 것은 정치적인 글쓰기를 예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