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김정환 (4)
정명교(정과리)의 문신공방
저 순백의 치자꽃에로 사방이 함께 몰린다. 그 몰린 중심으로 날개가 햇빛에 반사되어 쪽빛이 된 왕오색나비가 내려 앉자 싸하니 이는 향기로 사방이 다시 환히 퍼진다. 퍼지는 그 장엄 속에선 시간의 여울이 서느럽고 그 향기의 무수한 길들은 또 바람의 실크자락조차 보일 듯 청명청명, 하늘로 열려선 난 그만 깜깜 길을 놓친다. 놓친 길 바깥에서 비로소 破精 을 하는 이 깊은 죄의 싱그러움이여 ! - 고재종, 「장엄」(『그때 휘파람 새가 울었다』, 시와시학사, 2001) 서정의 극점을 비추는 시다. 극점이 보인다는 것은 서정의 표준이 아니라는 뜻도 된다. 서정을 ‘자기의 순수한 제시’라는 말로 요약한다면, 이 시는 그 자기 표현의 끝에서 문득 자아의 소멸을 겪는다. “저 순백의 치자꽃..

놀랍게도 김정환이 속내이야기를 털어놓고 있다. 『순금의 기억』(창작과비평사, 1996)에서 그는 마침내 말한다. 역사는 결코 생의 축적이 아니라고. 역사는 단지 썩은 자궁에서 분만된 고름덩어리라고. 그저 지리멸렬일 뿐이라고. 민중은 헐벗은 만큼 물들지 않았다는 순수의 역설로 군사정권의 압제에 대항해 살아냄의 윤리학을 맞세웠던 초기시나 민주화의 열풍 속에서 민중의 힘찬 진군을 “끈질기고, 길고/거무튀튀”한 기차에 비유한 나중 시들에 익숙했던 독자들은 잠시 아연할 법하다. 그러나, 본래 그는 역사를 믿지 않았다. 초기시의 그가 살아냄의 윤리를 왜 “숨가쁜 진실”, “길보다 먼저 준비되고 있”는 “만남”이라고 말했던가. 그에게 살아냄은 지속의 영역에 속하지 않고 순간의 영역에 속했다. 그의 시는 서사시의 쪼가..
* 고재종의 「장엄」 서정의 극점을 비추는 시다. 극점이 보인다는 것은 서정의 표준이 아니라는 뜻도 된다. 서정을 세계의 자아화라는 말로 요약한다면, 이 시는 그 자아화의 끝에서 문득 자아의 소멸을 겪는다. 그 충만과 소멸 사이의 긴장을 장엄이라고 말할 수 있다. ※ '서정=세계의 자아화'라는 상투적인 규정이 매우 그릇된 것이라는 견해를 글로 만든 적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하길 바란다: 「‘서정’을 규정하는 이 땅의 희극에 대해서: ‘한국적 문학 장르’ 규정 재고 一‘세계의 자아화’라는 허구 혹은 ‘보편적 자아’의 끈질김」, 『‘한국적 서정’이라는 환을 좇아서』(2020). 이 견해에 근거하면, 「장엄」은 차라리 '서정의 근본'에 육박했다고 해야 하리라. * 김영승의 「瀕死의 聖者」 김영승은..
목구멍 옛날에 나를 켕기게 만들던 우리 식구 목구멍 하나 둘 셋 그것을 채우던 내 노동 일년 이십년 한평생 뼈빠지게 고생하던 옛날에 울분 삭히던 가슴에 쐬주 고이던 뻥 뚫린 구멍 하나 둘 셋 지금은 내가 채울 목구멍이 세상 도처 내 몸보다 크구나 제 혼자 허한 목구멍 자본가의 거대한 목구멍 정치가의 거대한 목구멍 역사의 거대한 목구멍 그러나 켕기지 않네 채우기에 노동자 이 가슴 모자랄 뿐이네 그것이 노동자 나를 구멍보다 거대하게 키우고 성장이 넘쳐 목구멍도 뒤집히고, 경사나겠네 (김정환 시집, 『노래는 푸른 나무 붉은 잎』, 1993, 실천문학사) 우리는 언제부터인가 가난을 잊고 살고 있다. 80년대에 소비사회가 시작되고 90년대에 문화 산업이 급격히 팽창하면서 일상적 향유는 무람없는 일이 되었다. 봉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