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완벽한 생애 (2)
정명교(정과리)의 문신공방

완벽한 생애를 이루는 작은 사람들의 협심 -조해진의 『완벽한 생애』 사람들의 마음 속에는 언제나 완전한 인간에 대한 소망이 봄바람처럼 일렁인다. 그 소망은 ‘칼로카가디아’ 등의 고전적인 용어로뿐만 아니라 ‘완전체’같은 청년들의 유행어에도 배어 있다. 인간의 내장에 각인된 본능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세월은 소망을 퇴색시킨다. 문명이 발달하고 거대해질수록 인간은 점점 왜소해진다. 어느날 그는 수레바퀴 자국에 깔린 붕어처럼 납작해진 자신을 보고 절망한다.. 조해진의 『완벽한 생애』는 말한다: “모든 삶은 흘러갔다”; 이제 “낙원이 있다고 믿는 희망은 기만적”이다. 그러나 희망을 단념할 때 비로소 진정한 결심이 선다. 작가는 가난, 정치적 자유, 사내 왕따, 동성애, NGO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기웃거리게..

※ 아래 글은 2022년 53회 동인문학상 1월 독회에 제출된 의견이다. 조선일보 홈페이지에서도 읽을 수 있다. 신문사의 양해를 얻어, 블로그에 싣는다. 판타지, 우울의 색 조해진(『완벽한 생애』, 창비, 2021.09)은 꾸준하다. 소수자에 대한 관심, 사건이 아니라 사연인 이야기들, 그리고 사연의 흐름에 내맡겨진 인물들. 여기까지는 아마도 예전에 유사한 사례들이 많이 있을 수도 있다. 조혜진 소설의 특징은 인물들이 이런 흐름에 쓸려 가면서도 실은 맨 앞자리에 위치해 있다는 것이다. 성소수자는 서둘러 자신을 밝히는 일에 기꺼워하며, 자유로운 만남을 지향하는 사람은 모든 구속의 요소들을 풀어버려, 만남의 실패를 유발한다. 요컨대 조해진의 인물들이 겪는 아픔은 도달하기 어려운 이상을 미리 몸으로 구현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