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명환 (7)
정명교(정과리)의 문신공방

※ 이 글은 『포에트리 슬램』 제 7호(2020.10)에 발표한 글이다. 잡지가 나온 지 시일이 꽤 흘렀기 때문에 블로그에도 싣는다. 1. 쥴리에트 그레코를 추모하며 지난 9월 23일 쥴리에트 그레코Juliette Gréco(1927-2020)가 세상을 하직했습니다. 에디트 피아프Édith Piaf와 함께 20세기 프랑스의 대중 음악을 대표했던 여성 가수가 현실이라는 무대에서 퇴장하였습니다. 향년 93세였으니 에디트 피아프(1915-1963)에 비하면 수(壽)를 누리셨다고 할 수 있으나 일찍 돌아가신 분은 제가 그이를 알았을 때 이미 고인이셨던 데 비해, 지난달 돌아가신 분은 제가 고등학생 시절 처음 그 이름을 들은 이후 지금까지 저에게는 ‘살아있는 신비’였으니, 이 가수의 사라짐은 더 큰 요동을 내 마..
한국의 인문학은 1945년의 해방과 1950-53년의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완전히 새로 태어나야 할 근본적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맞는다. 해방에 의해서 한국인의 삶의 장래가 그 자신에게로 되돌려졌으나, 전쟁으로 인해 삶의 터전은 폐허가 되었으며 분단으로 인해 한국인의 정신적 역량 또한 처참하게 찢겼다. 정명환, 송욱, 박이문, 김붕구, 이기백, 이기문 등 당시의 젊은 인문학자들은 그러한 물질적․정신적 불모지에서 삶과 세계와 인간에 대한 인식의 초석을 처음부터 새롭게 다지는 일에 착수하였다. 이 작업을 위해 그들이 노력한 일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일제 강점 36년을 통해서 한국 안에 뿌리내린 식민주의적 학문 풍토를 지우는 일이었다. 그 작업은 식민주의적 실증주의의 극복이라는 명제로 표현되었다. 다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