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명교(정과리)의 문신공방
2011학년도 연세문화상 시 부문 심사평 본문
구자창의 「무덤의 시간」은 의식의 끝까지 가보겠다는 의지가 뚜렷했다. 관념이 강해 묘사가 자유롭지가 못했다. 김채민의 「똑똑한 거지 공방」은 스마트폰을 통하여 쏟아지는 말의 홍수라는 오늘의 사회적 현상에 대한 예리한 풍자로 읽을 수 있다. 비판적 인식을 굳이 시로 쓸 때의 필연성을 더욱 고민했으면 한다. 박시현의 「화장」은 삶의 사건들을, 만남과 이별, 기쁨과 슬픔 등의 이분법으로 단순화시켜 감정을 고양시킨 후, 같은 단어의 다중적 의미를 통해 그 감정에 미묘한 그늘들을 입히고 있다. 이런 기교가 세계에 대한 폭넓은 이해로 발전하려면 시야와 사색이 필요할 것이다. 「별 헤는 밤」 등 장효정의 시들은 삶의 세목들에 대한 섬세한 느낌들이 돋보였다. 그 느낌 너머의 세계가 유기적으로 펼쳐지지는 못했다. 「창경궁의 대취타」 등 한지혁의 시들에선 일상에 대한 관찰과 사회에 대한 성찰이 긴밀하게 맞물리고 있었다. 다만 그 연결이 지나치게 긴장되어 있어, 생각이 경색될 위험이 있었다. 「응시의 법칙」, 「표류기」 등을 투고한 배희원의 시들은 도시적 일상의 진부함과 탈출욕망을 꽤 감각적으로 그려냈으나 반짝이는 이미지와 어색한 이미지가 뒤섞여 있었다. 최지은의 「가장자리」는 서민 가장의 삶의 간난함과 위태로움을 언어의 의미론적 변이를 통해 실감나게 전달하고 있었다. 심사자는 배희원과 한지혁과 최지은, 세 사람을 놓고 오랫동안 고민하다가, 최지은의 시가 단순성의 반복을 삶을 이겨내는 생동하는 리듬으로 만들고 있다는 점을 높이 사, 당선작으로 결정하였다. 당선자에게 축복을, 투고한 모든 이에게 격려를 보낸다.
'심사평, 추천사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9학년도 연세시문학상 시부문 심사평 (1) | 2022.12.03 |
---|---|
2010학년도 연세문화상 시부문 심사평 (0) | 2022.12.03 |
2012학년도 연세문화상(윤동주 문학상-시분야) 심사평 (0) | 2022.12.03 |
2013학년도 연세문화상 시부문 심사평 (0) | 2022.12.03 |
2014학년도 연세문화상(윤동주 문학상-시분야) 심사평 (1) | 2022.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