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명교(정과리)의 문신공방
엘레오노르 드 사브랑 (프랑수아즈 엘레오노르 드장 드 망빌) (1749-1827) 본문
공포정치 속에서 딸과 헤어지고 만 엄마의 노래
내가 낳았으니, 내 새끼인
이 아름다운 장미나무. 기쁨은 너무나 짧았더라 !
달아나야만 했어, 그리고 어쩌면
내가 살아있는 동안엔 영영 못 볼 수도 있어.
예쁜 장미나무, 태풍에게 넘겨줬네.
힘이 없었으니, 분노는 무장해제당했지.
광풍 아래 내 머리가 꺾이거나
또는 네 꽃들이 그리 되었구나.
내 기쁨, 내 자랑이었으며
내 근심, 내 행복이었으니.
내 기억 속에서 사라지지 못할 터.
너는 내 마음에 뿌리내렸으니.
비록 내가 악의 힘에 내몰려
나만을 구하는 데 정신 없었다고 네가 생각할지라도
나는 네 곁에서 피어난 장미만을 보았단다.
가시는 너에게서 멀찍히 떨어진 데에 있었지.
장미나무야, 네 이파리들을 소중히 건사해라.
늘 아름답고 늘 푸르르거라.
천둥이 물러난 후에 보여주렴
네 결실들이 내 겨울을 즐겁해 해주는 걸.
CHANSON D’UNE MÈRE ÉLOIGNÉE DE SA FILLE PENDANT LE RÈGNE DE LA TERREUR
- ELÉONORE DE SABRAN (Françoise Éléonore Dejean de Manville)
Est bien à moi, car l’ai fait naître,
Ce beau rosier: plaisirs trop courts!
Il a fallu fuir, et peut-être
Plus ne te verrai de mes jours.
Beau rosier, cède à la tempête,
Faiblesse désarme fureurs ;
Sous les autans courbe la tête,
Ou bien c’en est fait de tes fleurs.
Étais ma joie, étais ma gloire,
Et mes soucis et mon bonheur ;
Ne périras dans ma mémoire,
Ta racine tient à mon coeur.
Bien que me fis, mal que me causes.
En ton penser s’offrent à moi ;
Près de toi je n’ai vu que roses,
Ne sont qu’épines loin de toi.
Rosier, prends soin de ton feuillage ;
Sois toujours beau, sois toujours vert,
Afin que voie après l’orage
Tes fruits égayer mon hiver.
'울림의 글 > 프랑스의 여성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탈 부인 (제르멘느 드 스탈Germaine de Staël) (1766-1871) (0) | 2023.09.08 |
---|---|
아델라이드-지예트 뒤프레느와 Adélaïde-Gillette Dufrénoy (1765-1825) (0) | 2023.08.05 |
당트르몽 후작부인 (앙리에트 부르딕-비오) (1746-1802) (0) | 2023.07.13 |
파니 드 보아르네 Fanny de Beauharnais (1737-1813) (0) | 2023.06.22 |
마리-아마블 들 라 페랑디에르 (잔-아마블 들 라 페랑디에르)(1736-1819) (0) | 2023.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