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명교(정과리)의 문신공방

이우걸의 「거울·3」 본문

울림의 글/시 한 편 읽기

이우걸의 「거울·3」

비평쟁이 괴리 2011. 8. 13. 22:44

거울 3

   

무명의 시간들이 익사해 간 거울 속에는

분홍으로 가려 있는 추억의 창도 있지만

빗질을 하면 할수록

헝클리는 오늘이 있다

 

그러나, 아침마다 잠이 든 넋을 위해

누군가 힘껏 쳐 줄 종소릴 기다리며

우리는

거울 앞에서

머리를 빗어야 한다.

 

비가 오고 서리가 오고 국화꽃이 길을 열고

우리 맞는 계절은

늘 이렇게 조화로운데

거울은

무슨 음모에

또 가슴을 죄는구나

 

(이우걸 시집, 사전을 뒤적이며, 동학사, 1996)

 

보통 독자들은 무심코 지나가겠지만 이 작품은 시조다. 시조하면 무위 자연과 음풍 농월을 떠올리겠지만 그것은 전통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실천 탓이다. 그 잘못된 인식을 바꾸고 시조란 곧 생활 속에서 피어오르는 시절가요임을 보여주기 위해 많은 시조인들이 노력하고 있다. 이우걸도 그 중 한 사람이다. 이 시는 그 건조한 묘사와 삶에 대한 집요한 질문으로 저 무위 자연을 철저히 부수고 있다. 그러나 이 시의 맛은 깔끔한 구성이 범상치 않은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는 데에 있다.

이 시는 거울에 대한 시인데, 거울은 주제뿐만 아니라 구성에도 깊이 관여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보아 2연이 거울 역할을 하면서 1연과 3연을 거꾸로 비추고 있다. 1연의 거울은 차라리 으로서 존재한다. 그 창 사이에서 추억과 오늘이 대립하고 있다. 2련은 그 창을 진짜 거울로 바꾼다. 바꾸니까 바깥의 풍경이 나의 문제로 탈바꿈한다. 무릇 거울은 반성의 상징이다. 헝클어지기만 하는 오늘의 세태는 거울 앞에 서 보니 바로 내가 반듯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거울 앞에 서면 우리는 세상을 탓하기에 앞서 나를 점검하지 않을 수 없다. 그 어떤 종소릴 기다리면서 마음과 몸을 깨끗이 하지 않을 수 없다. 여기까지는 꽤 도덕적인 교훈을 담은 시로서 이해할 수도 있다. 그러나 3연에 오면 달라진다. 3연은 1연의 되풀이인데 되풀이함으로써 무언가 크게 달라졌다. 계절은 추억의 변용이다. 즉 과거의 시간이 현재로 옮아오면서 공간화되었고 그 공간의 이름은 계절이다. 이 순환하는 자연에 거울 앞에 선 나가 대립하고 있다. 그런데 거울 앞의 자아는 자신을 비추어 보면서 끊임없이 자신을 키우고 있다. 때로, 아니 빈번히, 거울 앞에서 우리는 승리를 위한 의욕을 키운다. 모든 일을 자신으로 집중시키면서 무언가 음모를 짜고 있다. 저 순환하는 자연은 그 거울 뒤의 창인데, 이제 창은 차라리 거울로서 존재한다. 그것이 거울 앞에 선 자의 조인 가슴과 핏발선 눈초리를 비추고 있다. 과거에서 오늘로, 오늘에서 자연으로 거울은 순환한다. 순환하면서 거울은 거울 앞에서 서는 행위마저도 반성케 한다. 거울의 힘은 그 순환의 운동성에 있다. 거울의 우주, 순환하는 우주로서의 거울은 분첩 속의 거울이 아니다.(쓴날:2002.01.09, 발표:주간조선1688, 2002.01.24)


'울림의 글 > 시 한 편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규원의 「밤과 별」  (0) 2011.08.13
조영서의 「나의 오식」  (0) 2011.08.13
이수익의 「한 번 만의 꽃」  (0) 2011.08.13
김지하의 「줄탁」  (0) 2011.08.13
정현종의 「꽃잎 2」  (0) 2011.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