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명교(정과리)의 문신공방

기다리지 않을 결심은 정당한가? - 진연주의 『나의 사랑스럽고 지긋지긋한 개들』 본문

울림의 글/소설읽기

기다리지 않을 결심은 정당한가? - 진연주의 『나의 사랑스럽고 지긋지긋한 개들』

비평쟁이 괴리 2022. 8. 24. 15:29

※ 아래 글은 제 53회 동인문학상 제 8차 독회에서 후보작으로 선정된 작품에 대한 지면 심사평의 원본이다. 원본이라 함은 발표본에서 생략된 부분들을 포함했다는 뜻이다. 지면 발표본은 조선일보 홈페이지에서 읽을 수 있다. 발표 시 제목은 '만사가 지긋지긋. 이제 한국인은 기다리지 않는다'이다. 신문사의 양해를 얻어 블로그에 싣는다.

 

한국인의 오래된 심성 중의 하나는 기다림일 것이니, 그것을 표현한 문학작품은 산적해 있다. 향가의 제망매가에서부터 고려의정읍사를 거쳐, 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에 이르기까지.

가요로서는 돌아와요 부산항에에서, 신앙으로서는 미룩불 신앙정감록신화에서 그런 마음은 뜨겁게 드러났고, 한국인들은 그런 문화물들에 몰표를 주어 환호하였다.

또한 우리는 만해와 미당, 최인훈과 이청준 등이 그 자세를 뒤집는 데 성공하였다는 것도 알고 있다. 또한 박찬욱의 영화 헤어질 결심도 기다림의 절묘한 변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진연주의 나의 사랑스럽고 지긋지긋한 개들(문학과지성사, 2022.06)이 보여주는 언어 실험, 혹은 말의 종종거림은 이 기다림의 집단 감성에 발을 담은 자세로, 손으로는 사뮤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에서의 에스트라공에게 손수건을 흔들고 있다.

그런 모습은 작품을 직접 읽으며 음미하시기를 바라고, 여기서는 왜 그럴까? 라고 물어보자.

21세기를 통과하면서 한국인의 심성은 크게 변했다. 지금 한국인은 잘 기다리지 않는다. 싫으면 단호히 떠나고, 거절하면 지체없이 돌아선다. 강남스타일은 말처럼 달릴 뿐, 머뭇거리지 않는다. ‘방탄소년단은 노래한다. “다들 언제부턴가 말하네. 우릴 최고라고/ 온통 알 수 없는 이름들 이젠 무겁기만 해.” 그들은 성공을 기다리지 않았다. 다만 노래를 위해, 노래와 더불어 앞으로 달릴 뿐이다.

하지만 여전히 기다리는 사람들도 많다. ‘거미의 노래 친구라도 될 걸 그랬어를 음송해보라. 문제는 기다림과 떠남 사이의 변화가 조변석개라는 것이다. 기다림에도 이유가 있고, 결별에도 까닭이 있다. 기다림과 헤어짐 사이에도 질긴 사연이 있다. 그런데 이제 내력을 복기하는 일은 드물다. 오직 행동만이 폭발할 뿐이다.

그 결과. 오늘 한국인은 자주 울고 자주 화를 낸다. 웃음은 고함에 가깝다. 넉넉하지않고 기운만 치솟는다. 그래서 작가는 묻는 것이다. 왜 이리도 울먹거리나? 왜 저리도 팍팍 나가나? 그 까닭이 간단할 수가 없다. 그래서 머뭇거리고 끙끙거리고 감돌고 맴돈다. 모두가, 만사가, 사랑스럽고도 지긋지긋하니 말이다.

이 말들의 끝자락에서 반가사유상의 미소를 만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미소가 어디서 오나? 생각하는 부처님께 물으면 그냥 웃을 것이다.